기후변화 대응 활동
온실가스 감축성과
보고연도 온실가스 감축량 목표 및 성과
구분 | 2024년 목표 | 2024년 성과 |
---|---|---|
Scope 1&2 |
485,975 tCO₂e
(기준연도 배출량 대비 18.5% 감축)
|
250,681 tCO₂e
(기준연도 배출량 대비 57.9% 감축)
|
Scope 3 |
8,852,169 tCO₂e
(기준연도 배출량 대비 6.7% 감축*)
|
5,198,461 tCO₂e
(기준연도 배출량 대비 45.2% 감축)
|
- * SBTi 기준에 따라 Scope 3 배출량의 67%에 대해 매년 2.5% 씩 감축
재생에너지 사용량
구분 | 단위 | 2021 | 2022 | 2023 | 2024 |
---|---|---|---|---|---|
사용량 | MWh | 38 | 61 | 66 | 123 |
전환율 (기존 전력 대비) |
% | 0.02 | 0.04 | 0.03 | 0.05 |
온실가스 감축 활동
현대건설은 IT 기반 환경성과관리 시스템인 H-PMS를 통해 모든 사업장의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관리하고,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에너지 절감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K-EV100에 가입하고 2030년까지 모든 차량을 무공해 차량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조명과 냉난방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본사 형광등을 LED로 교체하고 단열 블라인드를 설치했으며, 에너지 절약형 가설사무실 가이드라인 수립을 통해 고효율 자재 교체, 운영방법 개선 등 다양한 현장 에너지 절감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건설자재 생산업체와 협력하여, 기존 시멘트 대비 생산단계 탄소배출량 34.42%, 전 과정 배출량 10.09% 저감이 가능한 제강 및 리튬 부산물 활용 저탄소 혼합시멘트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주요 건축물에 적용한 결과 내재탄소 배출량이 기존 대비 30% 이상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향후에는 다양한 현장을 대상으로 적용성과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탄소 자재의 적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K-EV100 실적 및 계획
구분 | 단위 | 실적 | 목표 | ||
---|---|---|---|---|---|
2024 | 2025 | 2030 | |||
K-EV-100 | 전환대수 | 대 | 48 | 59 | 309 |
전환 비율 | % | 16 | 19 | 100 |
온실가스 감축 활동 상세(2022)
구분 | 단위 | 2022 | 합계 |
---|---|---|---|
에너지 효율 개선 활동 | 00 | 000 | 000 |
LDE 교체 | 개 | 000 | 000 |
단열 블라인드 설치 | 개 | 000 | 000 |
현장 직접 감축 활동 | 00 | 000 | 000 |
에너지 절약형 가설사무실 | 개 | 000 | 000 |
OSC 공법 활용 | 개 | 000 | 000 |
재생에너지 전환 활동
현대건설은 사옥 옥상과 건설 현장의 가설 사무실 지붕 또는 주차장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재생에너지 자가발전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50 kW의 태양광 패널을 그린스마트 이노베이션 센터에 설치하여 지난 2022년 약 28 tCO₂e 만큼의 온실가스를 감축했습니다. 건설 현장 내 약 30~40㎾ 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파일럿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재생에너지 자가발전량을 점차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당사에서 추진하는 재생에너지 중개거래 사업을 통해 재생에너지 조달량을 효과적으로 확대할 것입니다.
구분 | 단위 | 2022 | 목표 | ||||
---|---|---|---|---|---|---|---|
2025 | 2030 | 2035 | 2040 | 2045 | |||
재생에너지 사용량 | MWh | 61 | 000 | 000 | 000 | 000 | 000 |
자가발전 | MWh | 61 | 000 | 000 | 000 | 000 | 000 |
PPA | MWh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REC | MWh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재생에너지 전환율 | % | 0.04% | 000 | 000 | 000 | 000 | 000 |
총 전력 사용량 | MWh | 151,868 | 000 | 000 | 000 | 000 | 000 |
주요 저탄소 기술 성과 및 목표
신재생에너지 부문
-
해상 풍력발전
해상 풍력발전 기술 성과 및 목표 테이블 주요 성과 - 국내 서남해 실증단지 및 제주한림 해상풍력 실적 보유
- 국내 최초 해상풍력 설치선 '현대프론티어호' 보유
- 사업개발부터 EPC · O&M까지 해상풍력 생애 전주기 사업 수행
단기 목표 (~’25) - 국내 최고 수준 해상 시공 역량 통한 시장 선점
- '프리 파일링 공법' 국산화 통한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건설 역량 확보
중장기 목표 (~’30) - 2030년까지 국내 시장 약 3GW 규모 사업 수행 목표
- 국내 사업 수행 경험 바탕으로 해외시장 진출
-
청정수소 생산
청정수소 생산 기술 성과 및 목표 테이블 주요 성과 -
수소 생산·저장·운송 전주기 기술 개발 프로젝트 수행
- - 보령 청정수소 사업 FEED* 설계 : 수소 플랜트 기본설계 수행
- - 전북 수전해 수소생산 기지 구축 사업: 실시설계 및 EPC 수행
- - 제주 12.5MW 그린수소 실증 개념설계
- FEED(Front End Engineering Design) : EPC(상세설계, 구매, 시공) 전 공사 기본설계
단기 목표 (~’25) - 수소 생산·저장·운송 전주기에 걸친 수행 실적 기반 수주 경쟁력 확보
중장기 목표 (~’30) - 수소 생산에서 활용까지 전주기 수소생태계 구축
- 글로벌 수소플랜트 시장 선도
-
수소 생산·저장·운송 전주기 기술 개발 프로젝트 수행
-
PPA/VPP
PPA/VPP 기술 성과 및 목표 테이블 주요 성과 - 재생에너지 공급 사업 계약 체결 (현대차그룹 RE100 500MW 및 그 외 260MW)
- 남동산단 7.5MW 규모 On-Site PPA* 사업권 확보 (에너지자급자족 사업)
- PPA(Power Purchase Agreement) : 전기사용자와 발전사업자가 특정 기간 동안 정해진 가격으로 직거래를 통해 전력구매계약을 체결하는 제도
- On-Site PPA : 전력소비자의 지붕/유휴부지에 재생에너지 발전소 설치 후 PPA 체결하는 방식
단기 목표 (~’25) - 플랫폼 기반 전력거래 편의 서비스 시장 안착 (PPA, VPP 등 민간 허용 전 분야)
- VPP* 기술 실증 및 시장 진출 (V2G* 상용화 실증 국책 R&D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 및 수행 중, ’24~)
- VPP(Virtual Power Plant) : 소규모 분산 자원을 하나의 가상발전소처럼 통합 운영하는 IT 시스템
- V2G(Vehicle To Grid) : 전기차배터리의 충방전을 통해 전력을 거래하는 기술
중장기 목표 (~’30) - 거래자원 다변화 (해상풍력, 수소, SMR 등)
- 총 누적 확보 거래자원 규모 10GW 이상 달성
-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 에너지화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 에너지화 기술 성과 및 목표 테이블 주요 성과 - 유기성폐자원 처리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 기술
- 충주시 음식물 바이오에너지센터 실증사업 (국책과제)
- 시흥시 클린에너지센터 (국내 최초 통합바이오 민간투자사업)
- 인제군 통합바이오 실증시설 실증연구 (국책과제)
단기 목표 (~’25) - 그룹 수소생태계 구축을 위한 W2H 기술개발/사업지원
- 실적 기반 바이오가스 에너지사업 확대 (구미 통합바이오 외)
- 하수처리장 현대화 기조에 따라 에너지 자립형 메가 사업 추진
중장기 목표 (~’30) - 국내 사업 수행 경험 바탕으로 해외 W2H 사업 진출
- 바이오가스 O&M 경쟁력 향상 위한 통합운영시스템 구축
친환경 기술 부문
-
CCUS 기술
CCUS 기술 개발 기술 성과 및 목표 테이블 주요 성과 -
탄소 포집/활용(CCU* )분야 기술 포트폴리오 확보를 위한 실증/연구 시설 구축 및 연구 수행
- - 블루수소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식 CO2 포집/액화 공정 최적화 및 실증 (평택 수소생산기지 연계)
- - CO2 활용 메탄 개질 합성가스 생산 및 가스분리기술 실증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바이오가스 생산 시설 연계)
- - CO2 포집활용 반응공정 실험실 구축 및 CO2 활용 친환경 정제원료(플라스틱 원료) 촉매반응기술 개발
-
탄소저장 연구과제 및 실증사업 수행 통한 기술 역량 확보
- - 해양 CO2 수송 및 주입시설 전주기 안전성 확보 기술개발 (국책과제)
- - 네덜란드 고갈가스전 활용 연계 CCS* 최적 설계 기술 개발 (국책과제)
- - 동남아시아 CCS 사업 추진 모델 개발 (국책과제)
- - 동남아시아 분산 CCS 저장소 운영을 위한 순차 이전 확장형 부유식 CCS 시설 및 CO2 주입 개념/기본설계 기술 개발 (국책과제)
- - 동해가스전 활용 CCS 실증사업 Pre-FEED
- - 호주 중서부 청정암모니아 개발사업 본 타당성 조사
- CCU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 화석연료 사용 등으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
- 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 화석연료 사용 등으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대기로부터 격리시키는 기술
단기 목표 (~’25) - 탄소포집/활용/저장 기술 실증 및 사업화 역량 확보
중장기 목표 (~’30) - 탄소포집 기술 사업 실적 확보 및 CDR* 기반 기술 포트폴리오 다변화
- 탄소활용 핵심 공정기술 확보 및 CCU 플랜트 신시장 진출
- 탄소저장 공정설계 역량 확보를 통한 CCS 사업 진출
- CDR (Carbon Dioxide Removal) :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활동
-
탄소 포집/활용(CCU* )분야 기술 포트폴리오 확보를 위한 실증/연구 시설 구축 및 연구 수행
-
저탄소 건설자재
저탄소 건설 자재 개발 기술 성과 및 목표 테이블 주요 성과 -
초고강도 Green PHC 파일 개발 : CO2 발생량 30% 감소, 녹색기술인증 GT-15-00090호
- [힐스테이트 일부 현장 적용]
-
슬래그 시멘트(제품명: H-ment) 개발 및 상용화 : CO2 발생량 60% 감소
- [힐스테이트 일부 현장 적용]
-
콘크리트 강도 조기발현 기술 : 동절기 급열양생 탄소발생량 50% 감소, 재난안전신기술 취득
- [대곡-소사 전철, 신월여의지하도로, 힐스테이트 일부 현장 적용]
- 시멘트 20% 사용 저탄소 초저발열 콘크리트 개발 : CO2 발생량 70% 감소
- 고성능 저탄소 혼합시멘트 개발 : CO2 발생량 30% 감소, 조기강도 증진 [힐스테이트 적용 추진 중]
단기 목표 (~’25) - 국내외 건설자재분야 선도기업과 기술협력을 통한 저탄소 건설재료 기술 다변화
중장기 목표 (~’30) - 차세대 고성능 친환경 신재료 및 장수명화 기술 개발, 현장적용 확대, 기술상용화
-
초고강도 Green PHC 파일 개발 : CO2 발생량 30% 감소, 녹색기술인증 GT-15-00090호
-
저탄소 건설기술
저탄소 건설기술 성과 및 목표 테이블 주요 성과 - BIM* , 사물인터넷(IoT) 등 스마트 건설기술의 현장 적용 확대 통한 시공·구매·물류 과정 최적화
- OSC* 공법 현장 적용 확대 (PC 더블월 복합화 공법, 조립식 교각 시스템 등)
-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기획부터 시공 및 유지관리, 폐기까지 가상으로 건축물을 모델링하는 기술
- OSC(Off-Site Construction) : 건설현장에서 직접 시공하지 않고, 외부(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 후 현장에 반입하여 설치하는 일련의 공정
단기 목표 (~’25) - OSC 공법 기술 개발 및 수행 역량 강화 (PC 라멘조/PC 모듈러 공동주택)
중장기 목표 (~’30) - OSC 공법 역량 확보를 통한 사업 진출
-
제로에너지빌딩
제로에너지빌딩 테이블 주요 성과 - Smart BEMS* 개발 : 국내 최초 1등급 BEMS 획득
- 힐스테이트레이크송도 "제로에너지건축물" 국내 최초 고층형 건물 적용
- 제로에너지 공동주택을 위한 BIPV* 통합 설계 지침 개발
-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 건물 내 사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는 시스템
-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 건물 일체형태양광 모듈을 건축물 외장재로 사용
단기 목표 (~’25) -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전기차 충방전, ESS* 활용) 개발
- ESS(Energy Storage System) : 에너지 저장 장치 또는 물리적 매체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
중장기 목표 (~’30) - VPP* 연계 건물 에너지 관리 플랫폼 개발
- VPP(Virtual Power Plant) : 소규모 분산 자원을 하나의 가상발전소처럼 통합 운영하는 IT 시스템
탄소중립 금융조달
현대건설은 2030 미래전략 추진 체계에 따라 EPC 경쟁력 고도화, 미래 신사업 확대, 건설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기술 개발 투자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사업과 에너지 사업은 핵심적인 미래 신사업으로 R&D 투자 규모를 장기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며, 향후 ESG 채권 발행을 검토하여 신재생에너지, 친환경 분야 기술 개발과 사업에 투자할 것입니다. 친환경 사업은 녹색분류체계 기준을 면밀히 검토하여 그린워싱을 방지하고 투자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