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관리지표 · KPI
2022년 하반기에는 국내 건설업 최초로 SBTi 기반의 2045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였으며 이와 관련한 신규 지속가능경영 목표를 수립하여 기후변화 대응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하였습니다. 앞으로도 현대건설은 중장기 지속가능경영 목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을 추구하고자 합니다.
지속가능경영 전략과제 | 2030 지속가능경영 목표 | 지속가능경영 KPI | 2023년 | 2024년 |
2025 목표/예측치 |
|
---|---|---|---|---|---|---|
저탄소 사회 구현 |
|
- 온실가스 배출량 SBTi 기준 준수 감축
(기준연도 대비 2030 Scope 1, 2 46.2% 및 Scope3 25% 감축)
- 지속가능성 제품 및 서비스 매출비율을 별도 매출액의 60% 이상으로 확대
|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률(%)1) | 282 | 314 | 100 |
재생에너지 사용량(MWh) | 66 | 123 | 137 | |||
지속가능성 제품 및 서비스 매출 비율(%)2) | 623) | 61 | 564) | |||
저탄소 연구개발 투자비(억 원) 5) | 36 | 36 | 17 | |||
녹색 구매(억 원) | 7,376 | 7,621 | 7,3759) | |||
환경 투자(억 원) | 411 | 452 | 4306) | |||
더 나은 삶 제공 |
|
- 인재 육성, R&D 경쟁력 강화, 조직문화 개선
- 사망만인율 0 유지, 근로손실재해율 연 5% 저감
(기준연도 2024년 대비)
-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연계한 글로벌 사회공헌 추진하여 사회적 가치 향상
|
미래 신사업 및 연구개발 채용 인원(명) | 82 | 102 | 75 |
인당 교육 비용(원) | 250,935 | 286,205 | 310,977 | |||
조직문화 진단(Culture index) 점수(점) | 76.3 | 80.0 | 80.0 | |||
임직원 근로손실재해율(건수/백만 근무시간) | 0.4137) | 0.529 | 0.503 | |||
지속가능발전목표 연계 기부금 비율(%)8) | 73 | 77 | 80 | |||
이해관계자 신뢰 구축 |
|
- 공급망 ESG 관리 확대 및 품질관리 고도화
- 무관용 원칙에 따른 윤리준법 경영 강화
- 이해관계자 중심 책임경영 추진
|
1차 협력사 ESG 평가 비율(%) | 85 | 89 | 100 |
고객 만족도(점) | 81.3 | 84.0 | 88.0 | |||
윤리 교육 이수 비율(%) | 91% | 91% | 100% | |||
주주환원율(%)9) | 18 | 39 | 25 |
- 1) 2045 탄소중립 및 SBTi 기반 감축 경로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달성률
- 2) EU 택소노미 경제활동 목록 기준 적용(Eligible)
- 3) 시공 중 현장 녹색/친환경 인증 변동 결과 반영 정정 공시
- 4) 2030년 지속가능 제품 및 서비스 매출 비율을 별도 매출액의 60% 목표 기준으로 연도별 단계별 목표 산출
- 5) EU 택소노미 해당하는 연구 프로젝트 투자금액
- 6) 2025년 예상 매출액 기반으로 산출
- 7) 2023년 데이터는 2024년 보고서 발간 이후 확정된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되었음
- 8) UN SDGs 해당 사업에 대한 기부금 비율
- 9) (배당금+자사주 매입금액)/(별도)당기순이익 * 24년 당기순이익 감소로 주주환원율 증가